이전 포스트에선 get을 이용하여 api데이터를 가져오기만 했었다.
그 외에도 post, put, delete가 있다.
post는 api로 데이터를 가져오는 게 아닌 데이터를 해당 http에 보낸다.
예를 들어 구글시트에 post로 데이터를 보내면 그 내용이 구글시트에 저장된다.
put은 post로 보낸 데이터의 내용을 변경, 업데이트할 때 사용된다.
delete는 말 그대로 보냈던 데이터를 삭제하는 기능이다.
간단한 사용법만 적어보도록 하겠다.
TOKEN = "qerlhjioehioerjhi" #유저가 작성하는 키 값
headers = {
"X-USER-TOKEN": TOKEN
}
#--------post-------------
params = {
"token": TOKEN,
"username": USERNAME,
"agreeTermsOfService": "yes",
"notMinor": "yes"
}
response = requests.post(url=endpoint, json=params)
#----------------------put-------------------------
update_config = {
"quantity": "7.97"
}
response = requests.put(url=endpoint, json=update_config, headers=headers)
#---------------------delete--------------------------
response = requests.delete(url=delete_endpoint, headers=headers)
각 명령어의 사용법에 대하여 간단히 작성해보았다.
여기서 get과의 차이점을 살피자면 일단 parameter값을 params=인수가 아닌 json=인수에 부여한다는 것이다.
그 이유는 post, put, delete 우리가 http에 정보를 넘기는 것이기 때문에 정보 값을 http가 읽을 수 있는 json데이터로 전송해주어야한다.
두번째로 headers=인수가 있는데, 이는 우리가 http에 넘길 키 값이다.
이걸 왜 key가 적힌 문자열이 아닌 headers=로 받냐면, 해당 키 값을 기준으로 http링크를 만드는데 문자열로 그 값을 받으면 웹사이트 링크에 key값이 적혀나와 해당 링크를 이용하던 이가 그 것을 보고 사이트의 정보 값을 건드릴 수 있기 때문이다.
때문에 headers=로 키 값을 받아 http링크에 키 값이 나오지 않게 하여 다른 이가 정보를 건드릴 수 없게 하기 위함이다.
위 예제로는 설명이 부족할 수도 있을 것 같다.
때문에 예제와 예제를 참고한 사이트를 올리도록 하겠다.
필요하다면 예제와 사이트의 API문서를 참고하고, 따라하며 이해하면 좋을 것 같다.
사용한 API
Pixela | Record and Track your habits or effort. All by API.
Pixela, Record and Track your habits or effort. All by API. | Pixela is the API service. With this service, you can get a GitHub like graph that expresses the degree of your daily various activities on a basis with a vivid gradation. All operations are per
pixe.la
예제파일
'파이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 환경변수로 값 숨기기 (0) | 2023.08.10 |
---|---|
파이썬 API 인증 (0) | 2023.08.10 |
파이썬 API 사용 (0) | 2023.08.08 |
파이썬으로 메일 발송 (0) | 2023.08.08 |
JSON(dump, load, update) (0) | 2023.08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