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f만 사용할 수 있다면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경우의 수 판단에 대해 작성한 내용이 매우 복잡하고 힘들어질 것이다.
때문에 else, elif가 존재한다.
먼저 else에 대해 소개하자면, if문의 수식이 거짓으로 나올 경우 실행하는 명령이다.
작성법은
if 수식:
명령
else:
명령
이런식으로 if 명령 밑에 else: 을 적고 그 밑에 실행명령을 작성하면 된다.
예시를 보자.
apple = 10
if apple == 0:
print("i have not apple")
else:
print("i have apples")
해당 명령문을 보면
if apple == 0:
이 부분이 거짓임을 알 수 있다.
때문에 평소에는 아무것도 실행되지 않았겠지만 이번엔 식이 거짓일 경우 실행되는 else의 명령이 실행된 것을 볼 수 있다.
이렇듯 else는 식이 거짓일 때 실행됨을 알 수 있다.
다음은 elif에 대해 설명해보겠다.
elif는 if문이 거짓일 때, 또 다른 경우의 수(수식)을 부여하여 elif의 식이 참이라면 해당 명령을 실행한다.
예시를 봐보자.
apple = 5
if apple == 0:
print("i have not apple")
elif apple == 5:
print("i have 5 apples")
else:
print("i have many apples")
해당 문에서
if apple == 0:
이 문장은 거짓이여서 실행되지 않지만
elif apple == 5:
이 elif 문의 결과는 참이고, 때문에 elif의 명령을 실행하게된다.
하지만 여기서 apple의 값을 6으로 바꾼다면?
apple = 6
if apple == 0:
print("i have not apple")
elif apple == 5:
print("i have 5 apples")
else:
print("i have many apples")
이 경우 if, elif 모두 거짓이 되기 때문에 else의 명령이 실행된다.
'파이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주석(#) (0) | 2023.07.08 |
---|---|
if 중첩문(feat. %연산자), if문 들여쓰기 (0) | 2023.07.08 |
파이썬 비교연산자, or, and (0) | 2023.07.08 |
파이썬 if (0) | 2023.07.08 |
f-string (0) | 2023.07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