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rint()는 괄호 안에 있는 값을 출력하는 함수이다.
첫 예시로 what is your name? 이라는 문자를 출력해보도록 하겠다.
방법은
print()괄호 안에 ""(큰 따옴표)를 넣고 그 안에 출력하고자 하는 글자를 입력하면 된다.
(큰 따옴표를 시작과 끝에 넣어야만 문자로 인식된다.)
print("what is your name?")
을 입력하면 출력하고자 했던 what is your name?이 출력된다.
(오른쪽 흰색 글자가 적힌 창이 출력결과이다.)
print()더 이해하기 위한 설명을 해보겠다.
예시로 해당 문장을 출력하려 한다고 해보자
Hello?
i want learn to python
nice to meet you
이처럼 문장의 줄을 밑으로 내리려면 어떻게 해야할까?
방법은 두가지가 있다.
print("Hello?")
print("i want learn to python")
print("nice to meet you")
이렇게 각 문장마다 print() 문을 나눠주는 방법
print("Hello?\ni want learn to python\nnice to meet you")
아니면 이런식으로 \n을 넣어주는 방법이다.
(이때 /(슬래쉬)가 아닌 \(역슬래쉬)임을 주의하자. 키보드에선 원화 표시를 누르면 된다)
이번엔 문자열 처리에 대해 알아보겠다.
print()함수에는 더하기 연산자가 사용이 가능하다
예시로 Hello? i'm jack 이란 문자를 출력할 때,
print("Hello? i'm jack")으로도 가능하지만,
print("Hello?" + " " + "i'm jack")으로도 가능하다
두 명령의 결과가 같은 것을 볼 수 있다.
해당 방법은 어디에 쓰이는지는 나중에 설명하도록 하겠다.
마지막으로 print()에서 출력하고자 하는 문자에 큰 따옴표를 넣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마지막으로 설명하겠다.
print("i want learn to "python" with you")
이 명령을 실행하면 문제가 없을 것 같지만 에러가 뜬다.
그 이유는 컴퓨터는 문자의 시작과 끝을 큰 따옴표로 판단하는데,
print("i want learn to "python" with you")
컴퓨터는 큰 따옴표의 위치를 보고 빨간 부분만 문자로 인식하고, python이란 글자에는 큰 따옴표가 안 붙었기에 출력할 문자가 아닌 명령 코드로 인식했다.
하지만 python이란 코드가 무엇인지 알 수 없는 탓에 에러를 일으키게 된 것이다.
해당 문제를 해결하려면 큰 따옴표(")를 작은 따옴표로 바꿔주면 된다(')
print('i want learn to "python" with you')
하면 문제없이 출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.
'파이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 수학연산 (0) | 2023.07.07 |
---|---|
형식 오류, 형식 확인, 형 변환 (0) | 2023.07.07 |
파이썬의 기본 데이터 형식(String, Interger, Float, Boolean) (0) | 2023.07.07 |
변수 (0) | 2023.07.06 |
입력 함수, input() (0) | 2023.07.06 |